지토세 기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토세 기지는 1926년 착륙장 조성으로 시작되어, 육군 및 해군 비행장을 거쳐 현재는 항공자위대 기지로 사용되고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군이 접수하여 운영하다가 1957년 일본에 반환되었으며, 1963년 민간 공항 터미널이 개장하면서 민간 공항의 역할도 수행했다. 1988년 신치토세 공항 개항 이후에는 항공자위대 기지로서 북부 항공 방면대의 핵심 기지 역할을 하고 있으며, 주변 지역의 소음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대책이 시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홋카이도의 군사 시설 - 삿포로 비행장
삿포로 비행장은 일본 제국 육군 비행장으로 건설되어 미국 육군 항공대가 사용하다 자위대에 환원된 후 민간 항공 운항이 시작되었으며, 활주로 연장 계획을 통해 리저널 제트기 운항 확대와 지역 경제 활성화를 기대하며 홋카이도 내 국내선 운항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 지토세시의 건축물 - 신치토세 공항
신치토세 공항은 홋카이도 치토세시에 위치한 홋카이도의 관문 역할을 하는 일본 최초 24시간 운영 공항으로, 국내선 및 국제선 터미널과 다양한 편의시설을 갖추고 치토세 기지와 활주로를 공유하며 항공자위대가 관제 업무를 담당하는 등 방공 거점 역할도 수행하지만 민영화 및 자위대 기지 공용에 대한 논란이 있다. - 일본의 군용 비행장 - 삿포로 비행장
삿포로 비행장은 일본 제국 육군 비행장으로 건설되어 미국 육군 항공대가 사용하다 자위대에 환원된 후 민간 항공 운항이 시작되었으며, 활주로 연장 계획을 통해 리저널 제트기 운항 확대와 지역 경제 활성화를 기대하며 홋카이도 내 국내선 운항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 일본의 군용 비행장 - 가데나 공군기지
오키나와현 가데나정에 위치한 가데나 공군기지는 극동 지역 최대 규모의 미 공군 기지이자 주일 미 공군의 핵심 기지로서, 동북아시아 지역 안보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지만, 소음, 환경 오염, 잦은 사고 등으로 지역 주민들과의 갈등이 있다.
지토세 기지 | |
---|---|
기본 정보 | |
이름 (한국어) | 지토세 기지 |
이름 (일본어) | ja |
이름 (로마자) | Chitose Kichi 지토세 키치 |
이름 (영어) | Chitose Air Base 지토세 에어 베이스 |
위치 | 홋카이도지토세시 |
종류 | 군용 |
운영자 | 항공자위대 |
개설 | 1926년 10월 22일 |
고도 | 27 m |
웹사이트 | 항공자위대 지토세 기지 공식 웹사이트 |
활주로 정보 | |
활주로 1 방향 | 18L/36R |
활주로 1 ILS | I |
활주로 1 길이 | 3,000 m |
활주로 1 표면 | 콘크리트 |
활주로 2 방향 | 18R/36L |
활주로 2 ILS | - |
활주로 2 길이 | 2,700 m |
활주로 2 표면 | 콘크리트 |
추가 정보 | |
ICAO 코드 | RJCJ |
2. 역사
1926년 당시 홋카이도 치토세시 주민들의 무상 노동으로 만들어진 착륙장이 지토세 기지의 시작이다.[6] 1939년 지토세 해군 항공대가 설치되면서 해군 비행장이 되었다가, 태평양 전쟁 이후 미군에 넘겨졌다. 1957년 항공자위대 제2항공단이 이전하면서 지토세 기지가 개설되었고, 1963년부터 민간 공항으로도 함께 쓰였다.
1988년 순수 민간 공항인 신치토세 공항이 문을 열면서 민간 항공 기능은 이전되었다. 현재 지토세 기지는 항공자위대의 주요 기지로, 일본국 정부 전용기 행거와 해상보안청 치토세 항공 기지가 있다. 2004년 기준으로 약 2,500명의 항공자위대원이 근무하고 있다.[4]
지토세 기지와 신치토세 공항은 유도로로 연결되어 있으며, 항공자위대가 관제 업무를 통합하여 맡고 있다. 민간 항공기는 주로 신치토세 공항 활주로를 이용하지만, 긴급할 때는 지토세 기지 활주로를 쓰기도 한다.
2017년에는 외국인 방문객 증가에 따라 지토세 기지 동쪽 활주로를 민간에 개방하는 방안이 검토되기도 했다.[5]
2. 1. 초기 역사 (1926년 ~ 1945년)
1926년, 오타루 신문사가 홋카이도 치토세시 지역 주민들이 기증한 10ha 규모의 비행장에서 "북해 1호기"의 비행을 후원하면서 지토세의 첫 비행이 시작되었다.[6] 1939년에는 일본 제국 해군이 이 비행장을 인수하여 지토세 해군 항공대를 개설하고, 활주로를 1200m로 확장했다.- 1929년 2월 - 지토세에 국영 비행장 설치 안이 중의원에서 채택.[6]
- 1933년 2월 - 지토세 마을이 육군 비행장 설치 청원서를 제7사단장, 홋카이도청 장관, 삿포로 체신국장 앞으로 제출, 비행장 안을 민간용에서 육군용으로 전환.[6]
- 1934년 10월 - 지토세 마을의 마을비, 오지제지, 이토구미 등의 기부로 착륙장을 약 4만 5천 평으로 확장하고 지토세 비행장 개장식을 실시.
- 1935년
- 1월 26일 - 마을 협의회에서 육군 비행대의 유치를 의결, 그 후 130정보의 비행장 부지를 확보.[6]
- 3월 25일 - 지토세 비행장에 육군 비행대 설치 청원이 채택.[6]
- 4월 4일 - 제2기 공사 착공.[6]
- 6월 6일 - 제2기 공사 준공, 10만 3620평으로 확장.[6]
- 8월 17일-23일 - 육군 항공 특별 연례 행사 실시.[6]
- 1936년
- 5월 10일 - 제3기 공사 착공.[6]
- 6월 20일 - 제3기 공사 준공, 17만 2천 평으로 확장.[6]
- 1937년
- 4월 - 해군 비행장 건설을 전제로 한 조사를 위해 오미나토 해군 항공대에서 히가이 노리하루・고후쿠다 소가 방문. 이시카리강 유역, 도마코마이, 지토세를 후보지로 하여 양호한 지질과 확장성의 높이로 지토세를 적지로 판단.[6]
- 9월 - 해군에서 비행장 건설 정식 결정 통지가 지토세 마을에 도착. 이로 인해 마을 유치 130ha를 기부.
- 10월 18일 - 해군 항공 기지 착공.[6]
- 1939년 10월 - 지토세 해군 항공대 개대 (착륙장은 해군의 비행장이 됨). 활주로를 1200m로 연장.
- 1942년
- 지토세 해군 항공 기지에서 북동쪽으로 약 3.4km 지점 (현 히가시치토세 주둔지 부근)에 제2지토세 비행장 활주로 (800m) 완성, 그 후 1300m로 연장.[7]
- 11월 1일 - 지토세 공을 제703해군 항공대로 개칭.
- 1943년
- 3월 1일 - 과달카날 섬 철수 작전 종료에 따라 지토세 해군 항공대를 해체.[7][8]
- 9월 6일 - 도쿄 상과 대학 북견대에 의해 제2지토세 비행장 유도로 완성.[7]
- 1944년 - 제2지토세 비행장의 동부 인접지에 제3지토세 비행장 활주로 (1200m) 완성.[7]
- 1945년
- 8월 15일 - 제2지토세 비행장 활주로를 2500m로 연장.[7]
- 9월 18일 - 제2지토세 비행장에서 3기의 B-29가 시카고 시영 공항까지 무착륙 비행을 실시 (1945 Japan–Washington flight), 전후 최초의 태평양 횡단 비행이 됨.[9]
- 10월 - 태평양 전쟁 종전으로 미군에 접수됨.
2. 2. 미군 점령기 (1945년 ~ 1975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1945년부터 1975년까지 미국 군대가 지토세 기지를 점령하여 사용하였다. 초기에는 미국 육군 항공대와 미국 공군 제5공군이 기지를 통제했으며, 주로 정비 및 물류 시설로 활용되었다.[4] 미 공군 점령 부대는 다음과 같다.부대 | 기간 |
---|---|
제3 공중 특공대 (제309 폭격 비행단) | 1945년 10월 ~ 1946년 3월 |
제49 전투 비행단 (후에 비행단) | 1946년 2월 ~ 1948년 4월 |
1950년 한국 전쟁 발발 후, 지토세 기지는 존슨 공군 기지의 하위 기지로서 대한민국 상공에서 전투 임무를 마치고 돌아오는 항공기의 비상 착륙장 및 기술 지원 사령부의 정비, 수리 창고로 사용되었다.[4] 1951년 1월 1일, 제6163 공군 기지 비행단이 창설되었다.
1951년 일본 항공이 운영하는 도쿄행 첫 정기 민간 항공편이 지토세 기지에 취항하였다.[15]
1953년 한국 전쟁 휴전 후, 1954년 9월 미 공군은 F-86 세이버를 장비한 제4 전투 비행단을 김포 AB (K-14)에서 지토세 기지로 이동시켰다.[4] 이 비행단은 홋카이도 방공 임무를 수행했으나, 1957년 7월 1일 예산 제약으로 해체되었다.
제4 전투 비행단 해체 후, 지토세 기지는 단계적으로 일본에 반환되기 시작했다. 1957년 12월 31일, 제6029 지원단을 비롯한 미군 부대가 해체되고 시설 통제권이 일본으로 넘어갔다. 미국은 1970년 12월까지 통신 시설을 유지하다 1975년 6월 30일 지토세 기지 작전을 완전히 종료하였다.[4]
2. 3. 민간 공항 시대 (1963년 ~ 1988년)
1963년, 여객 터미널이 개장하면서 지토세 기지는 삿포로 수도권을 운행하는 주요 공항으로서 본격적인 민간 공항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이는 오카다마 공항이 제트 항공기 운항에 적합하지 않아 빠르게 대체된 결과였다.[15]1969년에는 1972년 동계 올림픽 개최에 앞서 출입국 관리 시설이 건설되면서 지토세 공항은 출입국항으로 지정되었다.[15] 1981년에는 일본 에어 시스템이 나리타 국제공항을 경유하는 호놀룰루 국제공항행 국제선 노선을 개설하여 1987년까지 운항하였다.
그러나 민간 항공기의 발착 횟수가 증가하고 공항 시설이 협소해짐에 따라, 1988년 동쪽 인접지에 새로운 민간 공항인 신치토세 공항이 건설되었다. 이에 따라 모든 민간 여객 서비스는 신치토세 공항으로 이전되었고, 지토세 공항은 민간 항공 기능을 상실하게 되었다.[15]
2. 4. 항공자위대 기지 (1957년 ~ 현재)
1957년 8월, 제2항공단이 시즈오카현 하마마츠에서 이전하면서 9월에 지토세 기지가 개설되었다.[10] 1983년 4월에는 F-15J가 배치되었다.[10] 1992년 4월에는 정부 전용기의 관리 운용을 하는 임시 특별 항공 수송대가 편성되었다.현재 북부 항공 방면대의 핵심 기지로서, 제2항공단을 비롯한 여러 부대가 주둔하며 일본 북방 영공 방위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항공자위대는 신치토세 공항과의 관제 업무를 통합하여 담당하고 있다.[10]
'''북부 항공 방면대''' 예하
- 제2항공단 - F-15J/DJ를 배치. "북쪽의 방어"로서 중요한 부대이며, 스크램블 대기도 수행하고 있다.
- * 비행군
- ** 제201비행대 - 전투기에 F-15J/DJ, 연락기에 T-4를 운용.
- ** 제203비행대 - 전투기에 F-15J/DJ, 연락기에 T-4를 운용.
- * 정비 보급군
- * 기지 업무군
- ** 제2기지 방공대 - VADS・81식 단거리 지대공 유도탄・91식 휴대 지대공 유도탄을 배치.
- 북부 항공 경계 관제단
- * 제1 이동 경계대 - 이동용 차량 탑재 레이더로, 고정식 레이더를 보완하여 항공기의 탐지 및 공격 관제를 수행.
- 북부 고사군 - 지대공 유도탄 패트리어트를 운용.
- * 제1 지휘소 운용대
- * 제1 정비 보급대
- * 제9고사대 - PAC-3를 배치.
- * 제10고사대 - PAC-2를 배치.
- 북부 항공 시설대
- * 제2 작업대 - 삿포로 비행장의 토목 공사 및 동계 제설, 도내 레이더 사이트의 시설 공사를 수행.
'''항공총대''' 직할
- 항공 구조단
- * 비행군
- ** 지토세 구조대 - 항공자위대 및 다른 자위대기가 추락했을 때, U-125A와 UH-60J로 긴급 발진하여 탑승원의 수색 구조 활동(항공 구조)을 실시한다. 또한, 민간 항공기 추락 사고 시 도쿄 공항 사무소장의 요청으로 수색 구조 활동을 하거나, 소방, 해상보안청 등 다른 구조 조직이 출동이 어려운 악천후 시 등에는 재해 파견으로서 산악이나 해상의 조난자 수색 구조 활동, 도서·벽지의 응급 환자 수송 등을 수행한다.
- 항공 전술 교도단
- * 고사 교도군
- ** 기지 방공 교도대 - 항공자위대 기지의 방공에 관한 운용 연구 및 지도를 수행.
'''항공 지원 집단''' 예하
- 항공 보안 관제군
- * 지토세 관제대 - 일본 유수의 혼잡 공항인 지토세 기지와 신치토세 공항(IATA의 WSG에서 두 번째로 혼잡 수준이 심한 "레벨 2"[17])의 항공 관제 업무를 수행.
- 항공 기상군
- * 지토세 기상대 - 지토세 기지의 기상 데이터를 상시 측정하여, 기상 예보를 수행.

- 특별 항공 수송대 - 일본 정부 전용기 2기의 운용 및 정비를 수행.
- * 제701비행대
- * 정비대
'''대신''' 직할
- 항공 시스템 통신대
- * 이동 통신군
- ** 제3이동 통신대 - 유사시나 재해 파견 시에 통신 장비를 필요한 장소로 이동시켜 통신을 확보한다.
- 항공 경무대
- * 지토세 지방 경무대 - 지토세 기지 내의 치안 유지를 수행.
3. 배치 부대
- 제1관구 해상보안본부
- * 지토세 항공기지
- ** 드 해빌랜드 캐나다 DHC-8-Q315 (통칭 봄바르 300)
기체 번호 | 별칭 |
---|---|
JA723A | 오와시 1호 |
JA724A | 오와시 2호 |
JA727B | 오와시 3호 |
3. 1. 항공자위대
航空自衛隊일본어
- '''북부 항공 방면대''' 예하
- 제2항공단
- 제201비행대 - F-15J/DJ, T-4 운용.
- 제203비행대 - F-15J/DJ, T-4 운용.
- 제3 방공 미사일군단 (패트리어트 미사일)
- 제9 발사대대
- 제10 발사대대
- 제8 이동 항공 통제 경계 비행대
- 특별 항공 수송대 (일본 정부가 사용하는 보잉 777-300ER)
- 지토세 구조대 (미쓰비시 UH-60J, BA 시리즈 800 U-125A)
- 제2항공단 - F-15J/DJ 배치.
- 비행군
- 제201비행대 - T-4 운용.
- 제203비행대 - T-4 운용.
- 정비 보급군
- 기지 업무군
- 제2기지 방공대 - VADS, 81식 단거리 지대공 유도탄, 91식 휴대 지대공 유도탄 배치.
- (북부 항공 경계 관제단)
- 제1 이동 경계대 - 이동용 차량 탑재 레이더로, 고정식 레이더 보완.
- (북부 고사군) - 지대공 유도탄 패트리어트 운용.
- 제1 지휘소 운용대
- 제1 정비 보급대
- 제9고사대 - PAC-3 배치.
- 제10고사대 - PAC-2 배치.
- (북부 항공 시설대)
- 제2 작업대 - 삿포로 비행장 토목 공사 및 동계 제설, 도내 레이더 사이트 시설 공사 수행.
- '''항공총대''' 직할
- (항공 구조단)
- (비행군)
- 지토세 구조대 - U-125A, UH-60J로 탑승원 수색 구조 활동.
- (항공 전술 교도단)
- (고사 교도군)
- 기지 방공 교도대 - 항공자위대 기지 방공 연구 및 지도.
- '''항공 지원 집단''' 예하
- (항공 보안 관제군)
- 지토세 관제대 - IATA WSG 혼잡 수준 "레벨 2"[17] 항공 관제 업무 수행.
- (항공 기상군)
- 지토세 기상대 - 기상 데이터 측정, 예보 수행.
- 특별 항공 수송대 - 일본 정부 전용기 2기 운용 및 정비.
- 제701비행대
- 정비대
- '''대신''' 직할
- (항공 시스템 통신대)
- (이동 통신군)
- 제3이동 통신대 - 통신 장비 이동, 통신 확보.
- (항공 경무대)
- 지토세 지방 경무대 - 기지 내 치안 유지.
3. 2. 해상보안청
제1관구 해상보안본부 지토세 항공기지에는 드 해빌랜드 캐나다 DHC-8-Q315(통칭 봄바르 300) 항공기가 배치되어 있다. 세부 기종은 다음과 같다.기체 번호 | 별칭 |
---|---|
JA723A | 오와시 1호 |
JA724A | 오와시 2호 |
JA727B | 오와시 3호 |
4. 주변 환경 및 시설
홋카이도 치토세시에 있는 치토세 비행장은 1926년 당시 치토세 마을 주민들의 무상 노동으로 정비된 착륙장이 그 기원이다. 신치토세 공항과 인접해 있으며, 관리는 항공자위대가 맡고 있다. 두 공항은 유도로로 연결되어 있고, 관제 업무는 항공자위대가 일괄적으로 담당한다.[4]
신치토세 공항과 혼동하기 쉽지만, 치토세 비행장과 신치토세 공항은 별개의 시설이다. 활주로는 동서 방향으로 항공자위대가 18R, L을, 민간 측은 19R, L을 사용하며, 민간 측 활주로가 남쪽으로 약 1500m 떨어져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실제로 신치토세 공항으로 오인하여 치토세 비행장에 착륙을 시도하는 사례가 몇 번 있었다.
1988년 순수 민간 공항인 신치토세 공항이 건설되기 전까지, 구 치토세 공항은 치토세 비행장이었으며, 당시부터 지금까지 공용 비행장으로 사용되었다. 민간 항공기의 발착 횟수가 증가하고 공간이 협소해짐에 따라 신치토세 공항이 건설되었고, 민간 항공기는 그쪽으로 이전했다.
치토세 기지에는 일본국 정부 전용기의 격납고가 있으며, 기지 내에는 해상보안청의 치토세 항공 기지도 위치해 있다. 2004년 기준 항공자위대 기지 대원 수는 약 2500명이다.
치토세 기지 북동쪽의 육상자위대 히가시치토세 주둔지 내에는 구 해군의 제2・제3 치토세 비행장 및 캠프 치토세에서 미군이 사용했던 활주로 흔적이 남아 있다. 현재는 주둔지 내 도로, 훈련 시설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4]
2017년 8월, 방일 외국인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치토세 기지의 동쪽 활주로를 민간에 개방하는 방안이 검토되었다. 특히 중국, 한국 등 아시아권 관광객 증가와 저가 항공사(LCC)의 신치토세 공항 발착편 증편에 대비하기 위한 것이다.[5]
4. 1. 소음 문제 및 대책
항공기 운항으로 인한 소음 피해를 줄이기 위해, 주변 지역에 대한 방음 공사, 주택 이전 보상 등의 사업이 진행되었다. 1974년부터 75 WECPNL 이상인 제1종 구역[19] 내 주택을 대상으로 방음 공사가 실시되었고, 1990년부터는 공기 조화 기기 기능 복구 공사가 시작되었다. 1996년부터는 특정 주택 방음 공사(도넛 현상[20]), 1998년부터는 재건축 방음 공사, 2003년부터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설치 공사(모니터링)가 실시되고 있다. 2002년까지 약 2만 세대(신규, 추가, 특정 방음 공사 합계)에 3600억엔이 투입되었다.1971년부터 1979년까지 소음용 전화기 설치 사업이 지원되었고, 1974년부터 1996년까지는 항공기 이착륙으로 인한 텔레비전 플러터 방지를 위해 공동 수신 시설 설치가 지원되었다. 이러한 장애 방지 공사 보조 실적은 2002년까지 3건, 약 310억엔이다.
1962년부터 학교, 보육원, 교육 시설, 의료 시설 등 공공 시설의 소음 방지 및 경감 대책으로 방음 공사가 실시되고 있다. 2000년대 들어서는 시책이 거의 보급되어 기능 복구 공사가 증가하고 있다.
4. 2. 주변 지역과의 관계
防衛施設周辺の生活環境の整備等に関する法律일본어에 따라, 지토세시, 도마코마이시 등 주변 지역에 다양한 지원 사업이 이루어지고 있다.1964년부터 소음 피해 방지를 위한 건물 이전 보상 사업을 실시, 2002년까지 건물 1100호(약 970억엔), 토지 약 111ha(약 1000억엔)를 매입했다.[4] 인구 유출로 인한 마을 쇠퇴 및 방범 문제에 대한 대책도 마련하고 있다. 매입 토지 중 2002년 기준 약 118ha 중 67ha는 식재 사업(약 7.5억엔)에 사용되었고, 주변 토지 90% 이상이 녹지이다. 일부는 지토세시에 앵커리지 파크 등으로 사용 허가되었다.
1970년부터 도로 개수, 학습 시설, 무선 방송 시설, 공공 공지 등에 약 440억엔을 지원하는 일반 지원 사업을 실시했다.[4] 1998년부터는 지토세시의 쓰레기 처리 시설 다이옥신 대책 시설 정비도 지원한다. 1967년부터 학습 시설, 시민회관, 시청, 정/촌 청사 등에 방음 지원 사업을 실시했으나, 2000년대 이후 지원은 감소 추세이다.
특정 방위 시설 주변 정비 조정 교부금을 지토세시와 도마코마이시에 교부, 1974년부터 2002년까지 교통 및 스포츠 시설 정비에 406건, 약 1050억엔이 사용되었다.[4]
2002년부터 지토세시에 기지 관련 도시 조성 종합 계획 수립 사업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으며,[4] 전차 등 중장비 차량 통행로인 'C경로' 연선 환경 개선도 고려 중이다.
4. 3. 구 공항 시설
1963년 북동쪽에 홋카이도 공항이 운영하는 '치토세 공항 터미널 빌딩'이 설치되었다.[21] 이 터미널 빌딩은 1992년 신치토세 공항 터미널 빌딩이 개업할 때까지 사용되었다. 신치토세 터미널로 이전한 후 1994년까지 핑거 시설이나 화물 빌딩 등 관련 시설이 철거되었고, 터미널 본관은 개조되어 1995년부터 상업 시설 '치토세 월드 마켓 플레이스 NEWS'로 사용되다가 2001년에 해체되었다.[21]처음에는 일부 2층 건물, 면적 3,416㎡로 준공되었으나, 이후 항공 수요 증가에 따라 증축을 거듭하여 1982년에는 4층 건물, 48,023㎡로 확장되었다.[21] 1980년에는 일본항공 기재고를 개조한 국제선 터미널도 설치되었으며, 1980년대 후반에는 뉴미디어 기술을 활용한 정보 서비스 시설 'HAPIS'와 멀티 비전 '하피스 멀티 비전'도 정비되었다.[24]
구 터미널 말기에는 일본 최초의 공항 오리지널 캐릭터로 '소년 디퍼'를 제정했으며,[23] 'DIPPER & FRIENDS'로 소녀 '란 짱', 소 '이쿠요', 토끼 '미미', 키타키츠네 '콘스케', 에조사슴 '로빈', 다람쥐 '치보', 곰 '리틀 베어'의 캐릭터군도 설정되었다.[22]
1990년 시점의 치토세 공항 터미널 빌딩 구성은 다음과 같다.[22]
층 | 시설 |
---|---|
3층 | 레스토랑가 맛의 광장 스카이 니트, 견학 송영 데크, 게임 코너 |
2층 | 출발 로비, 매점, 치토세 공항역 연락 보도교, 우체국, 찻집, 은행, 단체 대기실, VIP실, 진료소, 멀티 비전 하피스 멀티 비전 (27인치 화면 세로 4면·가로 8면 총 32면)[23] |
1층 | 항공사 카운터, 티켓 로비, 수하물 수취대, 도착 로비, 매점, 구두 광택 코너, CD 코너, 식당, 수조, 종합 안내 카운터, 정보 서비스 시스템 HAPIS(Hokkaido Air-Port Information Service), 이·미용실, 수하물 임시 보관소, 투어 데스크, 렌터카 안내 코너 |
HAPIS는 뉴미디어 기술을 이용한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안내소로,[24] 다음과 같은 시설을 갖추고 있었다.[24]
- HAPIS SPOT: 호텔 및 오리지널 상품 예약, 레이저 디스크를 이용한 문자 정보 제공. 2기의 조작 화면과 벽면에 세로 3·가로 4의 총 12기의 화면을 갖추었다.
- HAPIS GUIDE: 공항 내 정보·관광 정보·항공 정보 등을 터치 패널식 화면으로 제공
- HAPIS VISION: 폭 1.8m·높이 1.35m의 액정 화면으로 공항 내 정보·항공 정보·상업 정보·관광 정보·뉴스 등을 투영
- HAPIS BOARD: 광고·환경 아트 등을 3면 회전으로 표시하는 트라이비전
- HAPIS WINDOW: 쇼케이스에 의한 상품 전시와 3기의 비디오 화면에 의한 설명을 전개
- HAPIS COMPANION: 정보 안내, 예약 발권 택배, 기기 설명 등을 실시
5. 사건 및 사고
- 1966년 2월 4일: 전일본공수 60편이 지토세를 출발하여 도쿄 하네다로 향하던 중 목적지에 거의 다다랐을 때 추락하여 탑승자 전원이 사망했다.
- 1971년 7월 30일: 전일본공수 58편이 지토세에서 도쿄 하네다로 향하던 중 훈련 조종사가 조종하던 일본 항공 자위대 F-86F와 공중 충돌하여 탑승자 전원이 사망했고, 전투기 조종사는 비상 탈출하여 생존했다.[2]
- 1982년 8월 19일: 일본항공 보잉 747-146SR기가 지토세에 착륙하는 동안 4번 엔진이 활주로에 충돌했다. 이 항공기(JA8119)는 3년 후 항공 역사상 최악의 단일 항공기 사고로 이어진다.
참조
[1]
웹사이트
AIS Japan
http://arquivo.pt/wa[...]
[2]
Aviation Safety Network
ASN Aircraft accident Boeing 727-281 JA8329 Shizukuishi
https://aviation-saf[...]
2016-08-22
[3]
웹사이트
AIS Japan
https://aisjapan.mli[...]
2016-05-17
[4]
문서
東千歳駐屯地創立記念行事における観閲式は同滑走路を式典会場及び訓練展示施設として使用する
[5]
뉴스
アジアLCC増便でパンク? 基地活用へ調整
https://mainichi.jp/[...]
毎日新聞社
2017-08-23
[6]
문서
新千歳市市通史編上巻 第5章日中戦争と海軍航空隊
https://www.city.chi[...]
千歳市役所
[7]
문서
新千歳市市通史編上巻 第6章太平洋戦争開戦
https://www.city.chi[...]
千歳市役所
[8]
문서
新千歳市市通史編下巻 第7編資料 千歳歴史年表
https://www.city.chi[...]
千歳市役所
[9]
웹사이트
千歳航空年表-空港で過ごす {{!}} 新千歳空港ターミナルビル
http://www.new-chito[...]
2019-07-20
[10]
문서
新千歳市史通史編下巻 第6編部門史 第14章米軍・自衛隊
https://www.city.chi[...]
千歳市役所
[11]
웹사이트
北海道地域輸入促進(FAZ)計画の推進
http://www.pref.hokk[...]
北海道総合政策部
[12]
뉴스
米人気キャラクター「ニューズ」開業PR*新千歳ターミナル
http://photodb.hokka[...]
フォト北海道(北海道新聞社)
1995-02-05
[13]
문서
新千歳市史通史編下巻 第6編部門史 第3章商業・金融
https://www.city.chi[...]
千歳市役所
[14]
뉴스
撤去のNEWS*旧千歳空港 ビル解体進む
http://photodb.hokka[...]
フォト北海道(北海道新聞社)
2001-02-21
[15]
서적
日本のエアポート06 北海道の空港
イカロス出版
2013
[16]
간행물
行くぞ!NEWSマン 自衛隊NEWS
イカロス出版 Jwing No.52
2002-12
[17]
웹사이트
国際線発着調整事務局の業務概要
http://www.schedule-[...]
国際線発着調整事務局(JSC)
2017-02-01
[18]
문서
[19]
문서
[20]
문서
[21]
문서
新千歳市史通史編下巻 第6編部門史 第5章交通・通信
https://www.city.chi[...]
千歳市役所
[22]
서적
伸びゆく千歳空港
北海道空港
1990
[23]
서적
いまが未来 北海道空港35年史
北海道空港
1997
[24]
서적
新時代へ 北海道空港25年史
北海道空港
198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